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

유제품 먹고 배아프다면 유당불내증 일 수도 있어요! 유당불내증 증상과 원인 진단방법은

반응형

유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은 유당을 소화하는 데 필요한 락타아제라는 효소가 부족하거나 결핍되어, 유제품에 포함된 유당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유제품을 섭취한 후 다양한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당불내증의 증상

유당불내증을 가진 사람은 유제품을 섭취한 후, 보통 30분에서 2시간 이내에 다음과 같은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복통이나 복부 불편감

-가스 차는 느낌이나 복부 팽만감

-설사 또는 변비

-구토

-트림 또는 속이 더부룩한 느낌

-소화불량

이 증상들은 유제품에 포함된 유당이 소화되지 않고 대장에서 발효되면서 가스를 생성하거나, 수분을 흡수하여 설사를 일으킬 때 발생합니다.

유당불내증의 원인

유전적인 요인: 많은 경우 유당불내증은 유전적으로 나타나며,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지역의 사람들에게 흔합니다. 반면, 북유럽계 사람들에서는 락타아제 효소가 계속 분비되어 유당을 소화할 수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나이: 나이가 들면서 락타아제 효소의 분비가 자연스럽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

장 질환: 장 질환이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염증성 장 질환(IBD) 등으로 인해 유당불내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장의 점막이 손상되어 락타아제 효소가 제대로 생성되지 않거나 유당 흡수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유제품 섭취 부족: 유제품을 거의 섭취하지 않은 사람들은 유당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유당불내증 진단 방법

증상 평가: 유제품을 섭취한 후 증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합니다. 일반적으로 증상이 유제품 섭취 후 나타난다면 유당불내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유당부하검사(Lactose tolerance test): 이 검사는 유당을 섭취한 후 혈당 변화를 측정하여 유당을 제대로 소화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수소 호흡 검사(Hydrogen breath test): 유당이 대장에서 발효되면 수소가 발생하는데, 이를 측정하여 유당불내증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대변 검사: 유당불내증으로 인한 설사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대변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유당불내증 관리 방법

유당불내증은 치료법보다는 관리가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유당이 포함된 음식을 피하거나, 유당이 제거된 제품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유당이 포함되지 않은 대체 제품 섭취

유당 제거된 우유 또는 유제품 대체식품 (예: 아몬드 우유, 콩 우유, 쌀 우유 등)

락타아제 효소 보충제 락타아제를 보충할 수 있는 효소 보충제를 섭취하면 유제품을 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유제품 대신 치즈, 요거트 등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들은 유당의 함량이 적어 대개 증상을 덜 일으킵니다.

유당을 섭취할 때 주의사항:

유당이 적은 유제품을 섭취하거나, 소량씩 나누어 먹는 방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락타아제 효소 보충제를 유제품 섭취 전에 복용하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식사와 함께 섭취하기: 유당이 포함된 음식을 공복이 아닌 다른 음식을 함께 먹을 때 섭취하면 증상이 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전문적인 상담: 증상이 심하거나, 자주 발생하는 경우에는 영양사나 소화기내과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식단을 계획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당불내증과 관련된 오해

유당불내증은 유당 알레르기와 다릅니다. 유당 알레르기는 면역반응으로, 우유 단백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입니다. 유당불내증은 소화 문제이기 때문에, 유당불내증을 가진 사람은 유당이 포함되지 않은 우유 대체 식품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은 모든 유제품을 피해야 한다는 오해가 있을 수 있지만, 소량의 유제품이나 유당이 적은 제품을 섭취하면 증상이 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당불내증은 유당을 소화하는 효소가 부족한 상태로, 유제품 섭취 후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이를 관리하는 방법은 유당을 포함한 제품을 피하거나, 유당을 소화할 수 있는 보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관리 방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