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주식

주식시장에서 사이드카 발동되었다는게 무슨 뜻일까? 서킷브레이커와 차이점은?

반응형

사이드카란?

사이드카는 주식시장에서 선물 가격이 급등하거나 급락할 때, 이를 따라 자동으로 매매가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매매를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제도입니다. 시장이 지나치게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한 일종의 안정장치입니다.

이 제도는 코스피200 선물시장에서 적용되며, 프로그램 매매로 인한 시장 충격을 줄이기 위해 도입됐습니다. **현물시장(주식시장)**이 아닌, 선물시장에 적용되는 조치라는 점이 핵심입니다.

사이드카 발동 조건

사이드카는 두 가지 상황에서 발동됩니다. 하나는 급락, 또 하나는 급등 상황입니다.

급락 시

코스피200 선물가격이 전날 종가보다 5% 이상 하락하고

그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되면 사이드카가 발동됩니다.

이 경우, 프로그램 매도 주문이 5분간 정지됩니다.

급등 시

코스피200 선물가격이 전날 종가보다 5% 이상 상승하고

그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되면 사이드카가 발동됩니다.

이 경우, 프로그램 매수 주문이 5분간 정지됩니다.

한마디로, 시장이 너무 빠르게 위나 아래로 움직일 경우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거는 겁니다.

사이드카는 하루에 한 번만 발동될 수 있습니다.

사이드카 발동 시 나타나는 현상

프로그램 매매가 일시적으로 멈추기 때문에, 시장 전체의 매매 속도가 줄어듭니다.

이 시간 동안 투자자들은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과도한 반응을 자제할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개인 투자자의 주식 거래는 계속 진행되지만, 기관이나 외국인이 사용하는 대규모 프로그램 매매가 잠시 멈추는 것이 특징입니다.

사이드카가 왜 필요한가?

프로그램 매매는 시장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대량 주문을 넣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시장이 하락하면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주식을 팔게 되는데, 이렇게 대규모 매도가 갑자기 쏟아지면 주가가 더 빠르게 하락하게 됩니다. 이걸 막기 위해 사이드카가 작동합니다.

반대로 급등 상황에서도 자동 매수가 이어져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해 프로그램 매수를 일시 정지하는 것이죠.

즉, 사이드카는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속도로 움직일 때 혼란을 줄이고 투자자 보호를 위한 시간적 여유를 주기 위한 제도입니다.

사이드카가 발동되면 어떤 의미일까?

사이드카가 발동됐다는 건, 시장이 정상적인 흐름을 벗어나 급격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뜻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 신호를 시장 불안정성 증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급락 상황에서는 공포심리, 대규모 투매 등으로 인해 시장이 무너지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고 급등 상황에서는 투기성 자금 유입 등으로 시장이 과열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이드카가 발동되었을 때는 무리한 매수나 매도보다 상황을 관망하고 분석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

참고로, 사이드카와 비슷한 제도로 서킷브레이커가 있습니다. 둘 다 시장 과열이나 급락을 막기 위한 장치이지만, 적용 범위와 방식은 다릅니다.

사이드카는 선물시장 내 프로그램 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조치이고, 서킷브레이커는 현물시장(실제 주식 거래 시장) 자체를 일정 시간 정지시키는 더 강력한 조치입니다.

정리하자면, 사이드카는 선물시장에서의 급등락으로 인해 시장 전체가 출렁이는 것을 막기 위해 일시적으로 자동 매매(프로그램 매매)를 5분간 중단시키는 제도입니다. 하루 한 번만 발동할 수 있고, 시장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능을 합니다.

필요하시면 최근 사이드카 발동 사례나 관련 뉴스도 확인해드릴 수 있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