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태그리스(Tagless)란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찍지 않고도, 자동으로 요금이 결제되는 시스템입니다.
즉, 기계에 터치하지 않아도 탑승만으로 요금이 처리되는 서비스인데요, 현재는 '모바일 후불 교통카드(태그리스 서비스)'와 관련된 일부 스마트폰 기종, 통신사, 카드사와 함께 제공됩니다.
버스 태그리스 하는 방법 (모바일 후불 교통카드 기준)
1. 지원 기종과 요금제인지 확인하기
태그리스는 아직 모든 스마트폰, 모든 통신사, 모든 카드사에서 가능한 건 아닙니다.
가장 먼저 아래 사항을 확인해 주세요.
통신사: KT, SKT, LG U+ (지원 요금제 필요) 스마트폰 기종: 안드로이드 기준, NFC 기능 있는 삼성/갤럭시 스마트폰 교통카드: 삼성페이 티머니 / 후불형 신용카드 연동 필요 → iPhone은 현재 태그리스 기능 미지원 (NFC 제한 때문)
2. '태그리스' 교통카드 앱 설치 및 설정 예: 삼성 갤럭시 사용자 기준
① 삼성페이 앱 실행
② 교통카드 → '티머니' 후불형 선택 ③ 교통카드 등록 (신용카드 연동 가능) ④ '태그리스 사용' 항목 활성화
💡 일부는 '모바일 티머니' 또는 'U+모바일 태그리스' 앱을 따로 설치해야 할 수 있습니다.
3. 설정 완료 후 버스 탑승 시
핸드폰은 가방/주머니에 넣어둔 상태여도 됨 버스 탑승 시, 자동으로 태그리스 감지 및 요금 처리 하차 시에도 자동 감지되어 환승도 가능 ※ 다만 버스 단말기에 '태그리스 이용자입니다' 또는 '정상 처리되었습니다' 같은 안내멘트가 나와야 성공입니다.
유의사항
기종 호환 여부 꼭 확인 (일부 폰에서는 NFC 타입 A/B 설정 변경 필요) NFC가 꺼져 있으면 감지되지 않음 (항상 켜두기) 하차 미인식 시 환승 할인 불가 → 휴대폰을 단말기 근처에 두는 게 안정적 일부 지역(시외버스, 농어촌버스 등)은 태그리스 미지원
태그리스 안 되면?
기기 설정 > NFC 기능 활성화 여부 확인 교통카드 앱에서 태그리스 설정이 꺼져 있는지 확인 최근 결제 오류가 있다면 앱 재로그인 또는 카드 재등록 배터리 부족 시 감지 안 될 수 있음
버스 단말기가 태그리스 시스템 미탑재인 경우도 있음
참고: 유사 서비스
서비스 이름 설명
모바일 티머니 태그리스 티머니 기반, NFC 스마트폰으로 자동 결제 삼성페이 태그리스 삼성 갤럭시 단말 전용, 티머니 연동 유플러스 태그리스 LG U+ 통신사 중심, 모바일 교통카드 기반 NFC 교통카드 실제로는 단말기에 태그해야 하는 방식 (비태그리스) 필요하시면 태그리스 가능한 기종 목록이나 통신사별 태그리스 서비스 등록 방법도 정리해드릴게요.
사용하고 계신 폰 기종이나 통신사, 카드사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맞춤 안내도 가능합니다.
'일상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린 골프장에서 홀인원비 꼭 내야할까?? 홀인원비 내는 기준과 이유 (0) | 2025.04.21 |
---|---|
버스카드 잔액 편의점 가지 않고 확인하는 방법 알려드릴게요 (0) | 2025.04.21 |
다리 얇아지는 방법! 붓기 제거부터 근육 정리까지 집에서 쉽게 하는 루틴 (0) | 2025.04.20 |
이석증과 난청 질환을 함께 겪고있다면?? 어리럼증이 발생하기전에 병원에 방문하셔야 해요 (0) | 2025.04.20 |
U+tv 리모컨 전원부분이 파란색으로 보이고, 조작이 안되는경우 이렇게 해결하세요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