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

혈액형은 유전될까? 유전자검사 하는 방법과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아요

반응형

혈액형 유전이란?

혈액형은 유전자의 조합에 따라 결정돼요. 부모로부터 각각 하나씩 유전자를 물려받게 되는데, 그 조합에 따라 자녀의 혈액형이 결정된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혈액형에는 ABO 혈액형과 Rh 인자가 있어요. 각각 따로 유전되지만 함께 고려해야 정확한 혈액형이 나와요.

이번엔 먼저 ABO 혈액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ABO 혈액형 유전 원리 알아보기

ABO 혈액형은 A, B, O라는 세 가지 유전자(정확히는 ‘대립유전자’)가 어떻게 조합되느냐에 따라 결정돼요.

A 유전자와 B 유전자는 서로 우성 관계가 아니고 공우성이에요. 즉, 둘 다 있으면 둘 다 표현돼서 AB형이 돼요.

O 유전자는 A나 B보다 열성이라, A와 O가 만나면 A형, B와 O가 만나면 B형으로 나타나게 돼요.

사람은 유전자를 두 개씩 가지니까 조합은 아래와 같이 생겨요: A형: AO 또는 AA

B형: BO 또는 BB

AB형: AB (공우성)

O형: OO (O는 열성이기 때문에 둘 다 O여야만 O형이에요) 예를 들어, 아버지가 A형이고 어머니가 B형이라면 각각 AO, BO일 수 있어요. 그러면 자녀는 A형(AO), B형(BO), AB형(AB), O형(OO)까지 모두 나올 수 있는 거죠. 즉, 부모가 어떤 유전자 조합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자녀 혈액형이 다양하게 나올 수 있다는 거예요.

Rh 인자도 같이 알아볼게요

혈액형에서 흔히 “A형 Rh+” 이런 식으로 쓰잖아요? 여기서 Rh 인자는 또 다른 유전 형질이에요. Rh 인자는 + (양성)과 - (음성) 두 가지로 나뉘고, Rh+가 Rh−보다 우성이에요.

Rh+는 유전자가 ++이거나 +−인 경우에 나타나요.

Rh−는 유전자가 −−인 경우에만 나타나죠.

예를 들어, 부모 둘 다 Rh+라도 자녀가 Rh−일 수 있는데, 그건 부모가 둘 다 +− 형태로 열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만 가능해요.

예시를 통해 알아보는 자녀 혈액형 가능성 예시 1: 아버지 A형(AO), 어머니 B형(BO) 이 조합은 굉장히 재미있는 경우예요. 자녀가 나올 수 있는 혈액형이 무려 A형, B형, AB형, O형 모두 가능하답니다. 왜냐면 각각 A, B, O 유전자를 하나씩 가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예시 2: 아버지 O형(OO), 어머니 O형(OO) 이 경우는 아주 단순해요. 자녀도 무조건 O형이에요. O형은 열성이라서 부모 둘 다 O 유전자를 줘야만 나타날 수 있거든요.

예시 3: Rh+ 부모 둘 다, 하지만 자녀는 Rh− 이건 부모가 +−일 때만 가능한 경우인데요, 둘 다 +−이면 자녀가 −−를 받을 확률이 25%예요. 그래서 이론적으로는 Rh+ 부모에서 Rh− 자녀가 태어날 수도 있어요.

유전자검사란?

유전자검사는 말 그대로 사람의 DNA를 분석해서 유전 정보를 확인하는 검사예요. 우리 몸의 모든 세포에는 DNA가 들어 있고, 이 안에는 머리카락 색, 키, 피부톤, 질병 위험도 같은 다양한 정보가 담겨 있어요. 이 정보를 꺼내서 확인하는 게 바로 유전자검사랍니다.

최근에는 간단한 타액(침) 채취만으로도 할 수 있을 정도로 검사 방식도 쉬워졌고, 결과도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게 발전하고 있어요.

유전자검사와 혈액형

우리가 흔히 말하는 혈액형 검사(A형, B형 등)는 기본적으로는 혈액을 통해 바로 항원 반응을 보는 방법이지만, 정확하게 유전자 수준에서 확인하려면 유전자검사를 해야 해요.

예를 들어, A형 사람도 AA형일 수도 있고 AO형일 수도 있잖아요? 이건 유전자검사를 해야만 구분이 가능해요. 특히, 부모가 특정 혈액형일 때 정확히 어떤 조합(AO인지 AA인지)인지 궁금하다면 일반 혈액형 검사만으로는 부족하고, 유전형 검사가 필요해요.

유전자검사로 알 수 있는 것들

혈액형 외에도 유전자검사를 통해 정말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어요. 대표적으로는: 건강 위험도 예측

암, 당뇨, 고혈압, 심혈관 질환 같은 유전성 질병의 가능성 확인 체질 분석

카페인 대사 속도, 유당 소화 여부, 살찌기 쉬운지 여부 등 피부 & 모발 정보

기미/주근깨 가능성, 탈모 유전 여부 등 운동 적성

지구력 vs 순발력 중 어떤 쪽에 유리한지 영양소 대사

비타민 D, 오메가-3 같은 영양소가 잘 흡수되는 체질인지 이런 정보들은 헬스케어나 다이어트, 피부 관리 등에 활용되고 있어요.

유전자검사는 어떻게 진행될까?

검사 키트 주문 or 병원 방문

요즘은 집에서 하는 검사 키트도 많아요.

타액(침) 채취 or 혈액 채취

키트는 침, 병원은 혈액을 더 자주 써요.

검체 보내기

분석기관에서 유전자 분석 시작

결과 확인 (1~2주 소요)

이메일, 앱, 웹사이트를 통해 결과 제공 검사 기관마다 다르긴 하지만, 보통은 1~2주 정도면 결과를 받아볼 수 있어요.

유전자검사, 꼭 해야 할까?

꼭 "해야 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알고 있으면 확실히 도움이 되는 정보가 많아요. 특히: 가족력 있는 질병이 걱정된다면

다이어트나 운동을 내 체질에 맞춰서 하고 싶다면 건강을 미리미리 관리하고 싶다면

한 번쯤 받아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해요. 단, 일부 민감한 정보(예: 치매, 유전병 관련 유전자)는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이기보다, 의학적 조언과 함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