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주식

주린이를 위한 주식 단어 정리 2탄 / 레버리지, 리밸런싱이 무엇일까?

반응형

1. 기본적 가치 (Intrinsic Value) 주식의 내재 가치를 의미하며, 기업의 실질적인 가치나 자산, 수익 등을 고려해 평가한 값입니다.
2. 레버리지 (Leverage)
자본을 빌려서 투자하는 방식으로, 투자 수익을 높일 수 있지만 동시에 손실 위험도 증가합니다.
3. 투자 신탁 (Mutual Fund) 여러 투자자들이 모은 자금을 전문 운용사가 운영하여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4. 블록 트레이딩 (Block Trading) 일정 규모 이상의 대량 거래로, 주식의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5. 시장가 주문 (Market Order) 현재 시장 가격으로 즉시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주문 방식입니다.
6. 지정가 주문 (Limit Order) 특정 가격에 도달했을 때만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주문입니다. 원하는 가격으로 거래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7. 리밸런싱 (Rebalancing) 포트폴리오 내 자산의 비율을 조정하여 초기 설정한 비율을 유지하는 과정입니다.
8. 저항선 (Resistance Level) 주가가 상승하다가 멈추거나 하락할 가능성이 높은 가격대를 의미합니다. 주가가 이 가격을 넘기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9. 지지선 (Support Level) 주가가 하락하다가 반등할 가능성이 있는 가격대를 의미합니다. 이 가격에서 매수세가 강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10. 매도차익 (Capital Gains) 주식을 매도하여 발생한 차익으로, 매도 가격에서 매수 가격을 뺀 값입니다.
11. 투자자 심리 (Investor Sentiment) 투자자들의 시장에 대한 감정이나 태도를 의미하며, 주가의 변동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12. 시세 (Quote)
주식의 현재 가격, 거래량, 변동성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니다.
13. 시가 (Open Price) 주식이 거래소에서 처음 거래된 가격으로, 주식 시장이 개장할 때의 가격입니다.
14. 종가 (Close Price) 주식이 거래소에서 마지막으로 거래된 가격으로, 하루 거래의 마지막 가격입니다.
15. 일일 거래량 (Volume) 하루 동안 거래된 주식의 총 수량으로, 시장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16. 스프레드 (Spread)
매수 가격과 매도 가격의 차이로, 시장의 유동성과 거래 비용을 나타냅니다.
17. 파생상품 (Derivatives) 기초 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가치가 변하는 금융 상품으로, 선물, 옵션 등이 포함됩니다.
18. 옵션 (Options)
특정 가격에 특정 자산을 매수하거나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하는 계약입니다. 매수 옵션(call option)과 매도 옵션(put option)으로 나뉩니다.
19. 대량매매 (Block Trade) 대량의 주식을 한 번에 매매하는 거래로, 대형 투자자들이 주로 사용합니다.
20. 아래쪽 깃털 (Wick)
캔들차트에서 주가의 고점과 저점 사이의 선으로, 특정 시간 동안의 가격 변동 범위를 나타냅니다.
21. 지수 (Index)
특정 주식 시장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선정된 주식들의 집합으로, KOSPI, S&P 500 등이 있습니다.
22. 세금 (Tax)
주식 거래에서 발생하는 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양도소득세와 배당세가 있습니다.
23. 경쟁력 (Competitive Advantage) 기업이 경쟁사보다 우위에 있는 특성으로, 시장 점유율이나 수익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24. 시세차익 (Arbitrage) 가격 차이를 이용해 이익을 내는 전략으로, 동일한 자산의 가격이 다른 시장에서 다를 때 발생합니다.
25. 상장 (Listing)
주식이 증권 거래소에 등록되어 거래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