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

가슴에 혹이나 멍울같은게 만져진다면 이 이유 때문일 수도 있으니 걱정하지마세요

반응형

가슴에 혹이나 멍울이 만져질 때는 누구나 불안해지기 마련이에요. 하지만 이런 증상이 있다고 해서 바로 심각한 병을 의미하는 건 아니에요.

지금부터 가슴에 혹이나 멍울이 생겼을 때 어떤 원인이 있을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대처하면 좋은지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

가슴에서 멍울이 만져지는 이유는?

가슴에 생기는 혹이나 멍울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대표적인 원인들은 다음과 같아요

1. 생리 주기에 따른 변화 (유선조직 변화)

여성의 경우, 생리 전후로 가슴이 뻐근하거나 멍울이 느껴질 수 있어요. 이건 호르몬 변화로 유선 조직이 일시적으로 부풀기 때문인데, 대부분 생리가 끝나면 자연스럽게 가라앉습니다.

2. 양성 종양 – 섬유선종

20~30대 여성에게 흔한 양성종양이에요.

단단하고 매끄러우며 손으로 만졌을 때 잘 움직여요.

대개 통증이 없고, 특별한 증상도 없지만 크기가 커질 수 있어요.

보통 악성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초음파로 확인하고 제거할 수도 있어요.

3. 유방낭종 (물혹)

액체가 차 있는 주머니 형태의 혹으로,

만졌을 때 말랑말랑하거나 눌렀을 때 움직이는 느낌이 들어요.

생리주기와 관련되어 커졌다 작아졌다 할 수 있고, 통증을 유발하기도 해요.

대부분은 양성이지만, 크거나 불편하면 검사가 필요해요.

4. 유선염이나 감염

염증이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혹처럼 붓고 단단해질 수 있어요.

보통은 통증과 열감, 붉은기, 발열 등이 함께 나타나고, 특히 수유 중인 여성에게 잘 생깁니다.

5. 유방암

가장 걱정되는 부분일 수 있는데,

딱딱하고 고정되어 잘 움직이지 않으며, 점점 커지는 경향이 있어요.

통증은 없는 경우가 많고, 피부가 움푹 들어가거나 유두에서 분비물이 나올 수도 있어요.

초기엔 증상이 거의 없을 수 있으므로, 멍울이 만져질 땐 정확한 검사가 중요해요.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유방외과나 여성외과, 산부인과 등 전문 진료를 받는 것이 좋아요

멍울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점점 커짐

손으로 만졌을 때 움직이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음 피부가 움푹 들어가거나, 유두가 함몰됨

유두에서 피가 섞인 분비물이 나옴

가슴 피부가 붉거나 열감, 통증이 동반됨

가족 중 유방암 병력이 있는 경우

어떤 검사를 하게 되나요?

병원에 가면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검사를 할 수 있어요: 유방 초음파: 멍울의 위치, 크기, 성질(고형인지 물혹인지 등)을 확인 유방촬영(맘모그램): 특히 40세 이상 여성에서 사용 조직검사: 혹이 의심스러울 경우, 세포를 조금 떼어내 검사 MRI나 혈액검사: 고위험군인 경우 더 정밀하게 진행하기도 해요

✅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생리 전후에 멍울이 느껴졌다면 2~3주 정도 관찰해 보세요.

되도록이면 자가검진은 생리 끝나고 3~7일 후에 하는 게 좋아요. 이때 유방이 가장 부드러워져서 정확하게 확인 가능해요.

이상하다 싶으면 망설이지 말고 병원 검진을 받는 게 제일 좋아요.

특히 40세 이상 여성은 2년에 한 번 유방암 국가검진 대상이니 꼭 받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