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사투리의 특징
부산 사투리는 경상도 방언에 속하지만, 부산만의 독특한 억양과 어휘, 말투가 살아 있어요. 말투가 다소 거칠고 직설적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굉장히 정 많고 유쾌한 성격이 드러나는 말이에요. 말을 빨리 하면서 끝음을 올리는 억양이 특징이고, 강조하고 싶을 때 말끝에 힘을 주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뭐하노?” 같은 말은 말투에 따라 친근한 인사가 되기도 하고, “니 뭐꼬?”는 당황, 놀람, 심지어 반가움까지 담을 수 있어요.
자주 쓰는 부산 사투리 표현과 의미
1. 일상 대화에서 자주 쓰는 말
뭐하노? → "뭐 해?"
가장 흔한 인사 말이에요. 친구나 지인에게 가볍게 던지는 말.
밥 묵었나? → "밥 먹었어?"
단순한 질문이 아니라, "잘 지냈나?" 하는 안부 표현으로도 자주 써요.
고마 하자 → "그만하자", "됐어 이제"
대화나 행동을 마무리 지을 때, 혹은 좀 귀찮을 때도 씁니다.
오이소~ → "오세요~"
상점, 전통시장 등에서 손님을 부를 때 자주 들을 수 있어요.
안카나? → "아니잖아", "그렇지 않니?"
상대방 말에 확인하거나 반박할 때.
니 뭐꼬? → "너 뭐야?", "넌 누구야?"
약간 당황했을 때, 처음 보는 사람을 보며 하는 말.
가이가? → "그렇지?", "맞지?"
말의 끝에 붙여서 동의를 구할 때 써요.
몰라카노? → "모르겠어?"
모르는 척할 때, 따지듯이 쓸 때도 있음.
2. 감정 표현
억수로 좋다 → "엄청 좋다"
‘억수로’는 굉장히, 매우, 진짜 라는 뜻으로 쓰여요.
디지겠다, 디질라카이 → "죽겠다"
힘들거나 짜증날 때 과장해서 쓰는 표현이에요.
예: "더워서 디지겠다" = 너무 더워서 미칠 것 같아 기절초풍하겠다 → "너무 놀라서 기절할 것 같다"
상황이 황당하거나 충격적일 때.
참말이가? → "진짜야?"
믿기 힘든 이야기를 들었을 때.
3. 단어형 사투리
고마 → 그냥, 이제
예: "고마 가자" = 이제 그만 가자 / 그냥 가자 쪼매 → 조금
예: "쪼매만 줘라" = 조금만 줘 디비지다 → (기절할 만큼) 피곤하거나 넘어지다 예: "어제 야근하고 디비졌다" = 야근하고 완전 뻗었다 되나마나 → 해봤자
예: "그거 되나마나 아이가" = 그거 해봤자 소용없어 빨리삐라 → 빨리 좀 해라
'삐라'는 명령형 강조 표현이에요. 약간 재촉하는 뉘앙스.
얼라 → 어린이, 꼬마
예: "그 얼라는 누구 집 아인데?" = 저 아이는 누구네 아이니?
뭐라카노? → 뭐라고 하는 거야?
상대방 말이 이해 안 가거나 반박할 때 씁니다.
말투와 어미 특징
부산 사투리는 말끝을 꺾어서 올리거나 끊어 말하는 경우가 많고, 끝에 강조용 말투가 붙어요. 예를 들면: ~노 (뭐하노? → 뭐하냐?)
~나 (안카나? → 아니잖아?)
~데이 (잘했데이 → 잘했어~)
~카이 (가자카이 → 가자고!)
이런 어미들이 말에 리듬을 주고, 부산 사람들끼리 대화할 때의 속도감 있는 말투를 만들어줍니다.
'일상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도선종이 의심된다고 해서 전부 암인건 아니니깐 걱정하지마세요, 고도선종이란? (0) | 2025.04.10 |
---|---|
가슴에 혹이나 멍울같은게 만져진다면 이 이유 때문일 수도 있으니 걱정하지마세요 (0) | 2025.04.10 |
무단결근 시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과 해고당할 수 있는 기준 (1) | 2025.04.10 |
돈빌려줬는데 상대방이 안갚으면 이렇게 받아내세요 (0) | 2025.04.09 |
브라자 윗부분이 들뜨는 이유와 해결방법 알려드릴게요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