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v 리모컨의 전원 버튼에 파란 불이 계속 들어오고, 리모컨 조작이 안 되는 경우는 셋톱박스가 멈추거나(다운), 리모컨 수신 불량, 또는 네트워크 연결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아래 단계대로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1. 셋톱박스 전원 재부팅 (가장 효과적인 방법)
가장 먼저 아래 방식으로 강제 재시작을 해보세요.
셋톱박스 뒷면(또는 측면)의 전원 어댑터를 콘센트에서 뽑습니다.
10초 정도 기다렸다가 다시 전원 코드를 꽂습니다.
전원이 들어오면, 로고 화면 → 부팅 완료까지 기다립니다.
이후 리모컨이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 전원 버튼이 파란색에서 바뀌거나 깜빡이면 정상 작동 중입니다.
2. 리모컨 점검 (배터리 확인 포함)
리모컨이 작동하지 않는 이유일 수도 있으니, 아래를 확인해 주세요.
리모컨 배터리 교체
오래된 배터리는 신호를 약하게 보내 리모컨이 안 먹힐 수 있습니다.
리모컨의 전면부 LED에 손이나 장애물이 가려지지 않았는지 확인 TV 리모컨이 아닌 U+tv 전용 리모컨인지 확인 리모컨 문제인지 확인하려면, U+tv 리모컨 대신 셋톱박스 본체 버튼으로 조작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조작이 된다면 리모컨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3. U+tv와 인터넷 모뎀 연결 확인
셋톱박스는 인터넷 연결이 되어야 제대로 동작합니다.
셋톱박스 뒤에 있는 랜선이 제대로 꽂혀 있는지 확인 인터넷 모뎀도 함께 전원 재부팅 (전원 뺐다가 10초 뒤 다시 꽂기) 공유기/모뎀에서 인터넷이 정상 작동 중인지 확인 (다른 기기에서 Wi-Fi 잘 되는지 체크)
4. 리셋 버튼 초기화 (마지막 수단)
일부 셋톱박스에는 ‘리셋’ 버튼이 존재합니다.
아주 작은 구멍에 들어 있는 버튼이니 핀이나 뾰족한 걸로 5초 이상 눌러주세요.
리셋 후 초기화되며 재부팅됩니다.
일부 설정(즐겨찾기, 로그인 등)은 초기화될 수 있습니다.
5. 고객센터 문의
위 방법으로도 해결이 안 되면 셋톱박스 자체 불량 또는 시스템 오류일 수 있습니다.
U+ 고객센터(국번 없이 101) 또는 U+ 고객센터 앱으로 문의하시면 원격 진단 또는 기사 방문이 가능합니다.
'일상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리 얇아지는 방법! 붓기 제거부터 근육 정리까지 집에서 쉽게 하는 루틴 (0) | 2025.04.20 |
---|---|
이석증과 난청 질환을 함께 겪고있다면?? 어리럼증이 발생하기전에 병원에 방문하셔야 해요 (0) | 2025.04.20 |
흔하지 않은데 왜 재밌는지 모르겠는 아재개그 100가지 총정리 (2) | 2025.04.20 |
야구에서 조기종료라고 말하는 콜드게임이란? 언제 적용 되는걸까?? (0) | 2025.04.20 |
계좌이체 착오송금, 다른 계좌로 돈을 잘못 송금했을 때 대처 (0) | 2025.04.18 |